티스토리 뷰

반응형

변수는 말그대로 변할 수 있는 숫자이다.

흔히 수학에서 많이 사용 했다.

(ex) x = 1+2 ; -> x = 3

이처럼 c언어에서도 변수를 선언하고 사용할 수 있다.


자료형 

자료형 이름 

 표현 범위

예제 

 정수형

 int 

 4바이트(-2147483648~+2147483647)

 -1234, 56 

 short int 

 2바이트(-32768~+32767)

 -45,128 

 long int

 4바이트(-2147483648~+2147483647)

 -6799,3215

 unsigned int

 4바이트(0~+4294967295)

 88,1991

 unsigned short int

 2바이트(0~+65535)

 12,34

 실수형

 float

 4바이트(3.4*10^-38 ~ 3.4*10^38)

 -72.33 

 배정도형실수

 double

 8바이트(1.7*10^-308~ 1.7*10^308)

 -3.46

 long double

 8바이트(1.7*10^-308~ 1.7*10^308)

  1.65468447

 문자형

 char

 1바이트(-128~127)

 'A','B','C'

 unsigned char

 1바이트(-0~255)

 


표를 보면서 아래 예제를 따라 해보자 




아직은 선언만 한 상태라서 컴파일을 해도 그냥 바로 꺼지거나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을 것이다.


여기서 필요한건 ? 그렇다 출력을 해주는 printf가 있어야한다.




여기서 새로 보는 것이 있을 것이다.


바로 형식지정자인 %d,%lf,%c 인데 우리가 선언한 변수들을 출력하려면 저렇게

형식지정자를 사용해야한다.




이 표를 한번 보고 외우면 된다.


그럼 가볍게 계산기를 한번 만들어 보자.


계산기를 제작하려면 일단 숫자 2개를 입력을 받아야한다.


숫자나 문자들을 입력받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하는가 ?


바로 scanf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.



이렇게 코드를 작성한뒤에 컴파일을 시켜보자




하지만 이러한 에러코드만 뱉어내고 컴파일이 되지않을 것이다.


visual studio 2013 버젼 부터는 scanf가 아닌 scanf_s(); 함수를 사용해야한다.


scanf를 scanf_s로 바꾼뒤에 컴파일을 해서 실행을 하면 계산기가 실행될 것이다.


아주간단한 프로그래밍이지만 뭔가 만들어간다는거에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 프로그래밍의 재미인 것 같다. (필자왈)


아직 초반이기떄문에 포기하지말고 천천히 잘 해쳐 나가도록 하자 


다음 강의에는 산술연산자(+,-,*,/,%) 와 논리 연산자(&,|,^,!) 등등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


반응형
댓글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